본문 바로가기
고3, N수 국어 학습일지

'채봉감별곡(작자 미상)' 기출 해설 : 노베이스 국어 초보의 수능 도전일기2022학년도 6월 평가원 국어 문학 고전소설

by oesolstudy 2025. 2. 3.


[노베이스는 괴롭다]

안녕하세요, 국어 노베이스 초보 형입니다.

고전소설은 보기만 해도 머리가 지끈거립니다.

한자어가 많고 문장이 길어서 무슨 말인지 도통 모르겠어요.

오늘 공부한 『채봉감별곡』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처음 슥 읽어 봤을 때, 주인공이 기녀가 됐다가
이방이 된 약혼자랑 다시 만나는 이야기같은데,

대체 왜 기녀가 되었는지,
어떻게 다시 만나게 되는지 너무 복잡해 보이더라고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이번 글에서는 이 내용을 아주 쉽게 풀어드릴 테니
끝까지 따라오시면 노베 탈출이 가능합니다!

📢 반드시 기출 원문 지문을 먼저 읽고 아래 글을 읽어야 합니다.
📌 기출문제 다운로드: 외솔교육 홈페이지 무료자료실

고전 소설을 읽으며 머리 감싸쥐고 고민하는 모습이 지금 이 사람이 책을 보며 고민하는 모습과 비슷합니다

[목차]

  1. 이 정도는 알아야 해!
  2.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수능국어
  3. 핵심 요약/정리
  4. 노베탈출이 보인다!

[이 정도는 알아야 해!]

고전소설을 읽기 전에 기본적인 배경지식을 알고 가면
이해가 훨씬 쉬워집니다.

오늘 채봉감별곡을 공부했으니

이 정도의 배경 지식은

반드시 쌓아 둡시다.

1. 채봉감별곡이란?

  • 조선 후기 한글 고전소설로,
    여성의 정절과 한계를 뛰어넘는 사랑 이야기를 다룹니다.
  • 즉, 주인공이 사랑꾼, 유교 캐릭터라는 거죠.
  • ‘감별곡(感別曲)’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감- 감정, 별- 이별, 곡- 노래
    이별의 감정을 노래한 작품입니다.

한복을 입은 채봉이가 달빛 아래에서 시를 쓰며 잃어버린 사랑을 그리워하고 있습니다

2. 조선 시대 관아의 구조와 직책

조선 시대의 관아는 오늘날의 지방 정부와 비슷한 역할을 했습니다.
사극 보신 적 있죠? 떠올려 보세요.
주요 직책과 그에 해당하는 현대적 개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직책 역할 현대적 개념
감사 한 도(道)를 관할하는 최고 책임자. 도지사
일도방백 한 지역(도)의 행정과 군사권을 총괄하는 사람. 도지사 또는 군사령관
이방 관아의 행정을 담당하는 실무 책임자. 행정 공무원 (주무관, 사무관)

조선시대 웅장한 관아의 풍경입니다 관리들과 서기들이 바삐 움직이는 모습이 보입니다

3. 등장인물 정리

등장인물 역할
채봉 (송이) 주인공. 원래 선비의 정혼녀였으나, 기녀가 됨.
장필성 채봉과 정혼한 남자. 후에 감사의 이방이 됨.
감사 송이를 거두어 관아에서 기거하게 한 지방관리.

재봉감별곡 뿐만 아니라 고전 소설에는 많은 사람들이 나오기 때문에 임무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4. 핵심 한자어 해설

한자어
국궁수명 (鞠躬受命) 몸을 굽혀 공손히 명령을 받음.
일심봉공 (一心奉公) 한마음으로 공적인 일에 힘씀.
부득설진심중사 (不得說盡心中事) 속마음을 다 털어놓을 수 없음.
주사야몽 (晝思夜夢) 낮에 생각하면 밤에 꿈에서도 봄.

 

 

한자도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글자 하나하나를 좀 살펴 보는 습관을 들이세요.

이제 본격적으로 내용을 쉽게 풀어볼게요!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수능국어]

1. 주요 내용

  • 채봉(송이)는 원래 장필성과 결혼할 예정이었지만,
    아버지 때문에 기녀가 됨.
  • 감사(지방관리)가 그녀를 눈여겨보고
    관아에서 생활하게 함.
    여기서 이 감사의 지인지감이 나옴. 확보!
  • 한편, 장필성은 송이를 만나기 위해
    감사의 이방(관리)로 들어감.
    여기서 장필성의 사랑꾼의 모습이 나옴. 확보!
  • 둘은 직접 만나지 못하고,
    송이는 필성의 글씨를 통해 존재를 확인함.

장필성의 글을 보며 장필성을 그리워하는 채봉이

  • 송이는 필성에게 편지를 보내려 하지만,
    감사의 눈을 피해 방법을 찾지 못함.
    송이 역시 사랑꾼의 모습이 나옴. 확보!
  • 가을밤, 달빛 아래서 시(추풍감별곡)를 쓰며
    그리움을 표현함.
  • 감사가 이를 발견하고 내막을 이해하게 됨.
    이때 절대 감사가 의심하고 그런 전개가 아님.
    왜냐하면 감사의 캐릭터성은 긍정캐릭터이기 때문!
    감사는 백성을 생각하고 나라를 걱정하고
    송이를 잘 보살펴 주는 긍정 캐릭터!

 

2. 노베 형은 이렇게 이해했다!

  1. 장필성과 송이는 다시 만나고 싶어요
    •  송이는 감사 아저씨 집에서 살고 있지만 필성이 너무 보고 싶어요.
    •  필성도 송이를 만나고 싶어서 감사 아저씨의 일을 돕는 사람이 되었어요.
    •  하지만 감사 아저씨는 송이가 있는 곳에 아무도 못 가게 막았어요.
  2. 송이가 필성이 가까이 있다는 걸 알아요
    •  송이는 문서를 보다가 필성이 쓴 글씨를 보고 깜짝 놀랐어요!
    •  감사 아저씨에게 물어보니, 이제 필성이 그 일을 하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  하지만 둘은 서로 만나지도, 편지를 보내지도 못했어요.
  3. 둘은 너무 보고 싶어서 아팠어요
    •  서로 글씨만 바라보며 반년이 지나버렸어요.
    •  둘 다 너무 보고 싶어서 마음이 너무 슬펐어요.
  4. 송이는 달빛 아래서 편지를 써요
    •  어느 날 밤, 송이는 하늘에 떠 있는 달을 보며 필성을 떠올렸어요.
    •  너무 슬퍼서 ‘추풍감별곡’이라는 편지를 쓰기 시작했어요.
    •  하지만 필성에게 보내지 못하고 책상에 엎드려 잠이 들었어요.
  5. 감사 아저씨가 송이의 편지를 발견했어요
    •  감사 아저씨는 밤에 송이가 우는 소리를 듣고 이상하게 생각했어요.
    •  송이 방에 가 보니, 책상 위에 편지가 놓여 있었어요.
    •  궁금해서 편지를 펼쳐 읽기 시작했어요...!

[핵심 요약/정리]

 

핵심 포인트

  1. 기녀가 된 채봉(송이)과 그녀를 찾으려는 장필성의 이야기
  2. 직접 만나지 못하지만 글씨를 통해 서로의 존재를 확인
  3. 감사의 이해로 갈등이 해소됨을 암시 → 후반부 전개 기대

 

📝 기억해야 할 표현

표현 의미
"지척이 천 리라" 가까이 있어도 만날 수 없는 안타까움
"부득설진심중사" 속마음을 다 털어놓을 수 없음
"주사야몽" 하루 종일 생각하다 보니 꿈에도 나옴

 

노벨 수능형과 함께 고전소설 열심히 공부해봐요

 


[노베탈출이 보인다!]

📍 고전소설 읽기 어려운 이유?

✔️ 한자어와 긴 문장 → 핵심 표현만 기억하면 해결!
✔️ 낯선 배경 → 기본적인 시대상 이해하면 OK!
✔️ 인물 관계 헷갈림 → 등장인물 표로 정리!

 

📍 앞으로 이렇게 공부하자!

핵심 인물 & 관계 정리하기 → "누가 누구랑 무슨 관계인지?"
주요 장면 & 한자어 파악하기 → "이 장면의 의미는?"
소설적 장치 이해하기 → "이 작품이 주는 교훈은?"

 

이제 『채봉감별곡』이 좀 보이시나요? 다음 시간에도 더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 추가 학습 자료

📺 유튜브 강의 시청하기
  👉 외솔교육 유튜브

📂 기출문제 다운로드
  👉 외솔교육 홈페이지

📱 심화 변형 문제 풀이
  👉 외솔 클래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