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3, N수 국어 학습일지

'영상 안정화 기술' 기출 해설 : 노베이스 국어 초보의 수능 도전일기 2021학년도 6월 평가원 국어 독서(기술)

by oesolstudy 2025. 2. 3.

2021학년도 6월 평가원 국어 독서에서 기출되었던 기술 지문 영상 안정화 기술입니다

[노베이스는 괴롭다] 😵

안녕하세요, 국어 노베이스 초보 형입니다.

과학기술 지문 나오면 머리가 아프죠?

이번 지문은 '영상 안정화 기술'에 대한 내용인데요,

카메라 기술과 물리 개념이 섞여 있어서 더 헷갈릴 수도 있어요.

특히 OIS, DIS, 특징점 같은 개념이 등장하면

"이게 뭐야?" 하고 멘붕이 올 수밖에 없습니다. 😨

하지만 걱정 마세요!

이번 글에서는 이 개념들을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끝까지 읽고 따라오시면,

수능장에서 이런 유형의 지문이 나와도 당황하지 않을 거예요! 💪

기술은 매우 빨리 발전하고 있습니다 카메라로 찍은 사진이 혁신이었던 적도 있는데 이제는 사진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목차] 📌

  1. [이 정도는 알아야 해!]
    -동영상이 만들어지는 원리 🎞️
    -화소, 화솟값, 화소수란? 🖼️
    -특징점이란? 🔍
  2.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수능국어]
    -OIS(광학 영상 안정화) 기술 설명 📷
    -DIS(디지털 영상 안정화) 기술 설명 🎥
  3. [핵심 요약/정리] 📝
  4. [노베탈출이 보인다!] 🚀
    -OIS와 DIS 비교 정리
    -문제 해결 접근법

[이 정도는 알아야 해!]

동영상이 만들어지는 원리 🎞️

동영상은 사실 사진 여러 장을 빠르게 이어 붙인 것이에요.

우리가 애니메이션을 만들 때

그림을 한 장 한 장 그려서 연속적으로 보여주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죠?

이 원리가 동영상과 같습니다.

보통 1초 동안 24장 이상의 사진(프레임)이 빠르게 지나가면서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거예요.

어린 시절 학교 수업이 재미 없어서,

책 모서리 하단에다 계속 그림을 그리며,

책을 넘기면서 동영상을 보며 논 경험이 누구나 있습니다.

ㅋㅋ 이게 사진으로 동영상 만드는 겁니다.

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이렇게 책 모서리에 그림을 그리며 동영상을 만들어왔습니다

 

화소, 화솟값, 화소수란? 🖼️

📌 화소(Pixel)

  • 사진이나 영상에서 가장 작은 단위의 점이에요.
  • 화면을 확대해 보면 작은 점들이 보이죠? 그게 화소입니다.

📌 화솟값(Pixel Value)

  • 각 화소가 가지는 색이나 밝기의 정보예요.
  • 화소마다 다른 색과 밝기를 가짐으로써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거죠.

📌 화소수(Pixel Count)

  • 전체 이미지나 영상에서 사용된 화소의 개수입니다.
  • 화소 수가 많을수록 더 정밀한 이미지(고해상도 이미지)가 됩니다.

화소는 각각의 칸을 의미하고 화솟값은 칸 안에 들어간 숫자들을 의미하고 화소수는 칸 전체의 개수를 얘기합니다

 

특징점이란? 🔍

DIS 기술에서는 '특징점'이라는 개념이 중요해요.

쉽게 말해 눈에 잘 띄는 부분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피사체의 모서리 같은 부분이 특징점이 됩니다.

위 사진에서 흰색과 검은색(짙은 회색)의 경계선이 특징점이 됩니다.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수능국어]

OIS(광학 영상 안정화) 기술 설명 📷

OIS 기술은 카메라의 렌즈나 이미지 센서를 직접 움직여서 흔들림을 줄이는 기술이에요.
쉽게 말해, 사진을 찍을 때 손이 흔들려도 렌즈가 반대로 움직여서 흔들림을 보정해 준다는 거죠.

📌 작동 원리

  1. 카메라가 흔들리면 자이로 센서가 이를 감지해요.
  2. 감지한 정보를 제어 장치가 분석합니다.
  3. 렌즈를 움직여서 흔들림을 상쇄해 줍니다.

📌 보이스코일 모터란?

  • OIS 기술에서 렌즈를 움직이는 중요한 장치예요.
  • 전류를 흘려서 렌즈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역할을 해요.

📌 OIS의 한계점

  • 렌즈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이라 큰 움직임은 보정이 어려워요.

OIS기술은 우리 핸드폰에도 다 있습니다.

https://r2.community.samsung.com/t5/CamCyclopedia/OIS-Optical-Image-Stabilization/ba-p/13484524

 

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ontents Definition and principles of OIS 2. Galaxy camera OIS 3. Notes Definition and principles of OIS 1. What is 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technology is one of the main image stabilization technologies alongside digital image stabilization

r2.community.samsung.com

 

왼쪽 사진은 손 떨림의 흔들림이 보정되지 않았고 오른쪽 사진은 손 떨림의 흔들림이 보정되었습니다


DIS(디지털 영상 안정화) 기술 설명 🎥

DIS 기술은 촬영한 후에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흔들림을 보정하는 방법이에요.
즉, 이미 찍은 영상에서 흔들린 부분을 찾아 보정하는 것이죠.

📌 작동 원리

  1.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나눕니다.
  2. 연속된 프레임에서 특징점(눈에 띄는 부분) 들이 어떻게 움직였는지 분석합니다.
  3. 흔들린 프레임을 보정하여 부드러운 영상으로 만듭니다.

📌 DIS의 장점과 단점
✅ 큰 흔들림도 보정 가능
❌ 연산 시간이 오래 걸림
❌ 보정 과정에서 화질이 떨어질 수도 있음

https://youtu.be/ZDZv2Udvk-s?si=BPBcvzh6lwgEi8S1&t=143

 

바쁘면

02:23초부터 보세요.

DIS가 적용되면 어떻게 되는지 잘 이해됩니다.


[핵심 요약/정리] 📝

기술명 방식 특징 단점
OIS 렌즈/센서 물리적 이동 빠른 보정, 자연스러움 보정 범위 제한
DIS 소프트웨어 보정 큰 흔들림 보정 가능 연산 시간 증가, 화질 저하 가능

 

📌 OIS는 촬영 중에 물리적으로 흔들림을 보정하는 기술

📌 DIS는 촬영 후에 소프트웨어로 흔들림을 보정하는 기술


[노베탈출이 보인다!] 🚀

📌 이 지문을 읽을 때 어려운 점은?

  • OIS, DIS라는 용어가 헷갈림
  • 물리 개념(자이로 센서, 전류, 자기장)이 나와서 어려움

📌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

  1. OIS는 렌즈가 움직이고, DIS는 컴퓨터가 보정한다고 이해하자.
  2. 자이로 센서 = 움직임 감지 센서라고 단순화해서 기억하자.
  3. 특징점 = 눈에 띄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면 쉬움.

📌 시험장에서 기억할 키워드

  • OIS → 렌즈 이동, 즉각 보정, 보정 범위 제한
  • DIS → 소프트웨어 보정, 큰 흔들림 가능, 연산 시간 필요

이제 '영상 안정화 기술'이 뭔지 확실히 이해되셨죠? 😊

앞으로 독서 지문이 어렵게 나와도 당황하지 말고,

핵심 개념을 차근차근 정리하면서 읽어나가면 됩니다! 💯

다음 글에서도 더 쉬운 설명으로 찾아올게요! 🚀


📢 외솔교육과 함께하세요!

📺 유튜브 강의 시청하기
  👉 OIS & DIS 개념 정리 강의 

📂 기출문제 다운로드
  👉 외솔교육 홈페이지

📱 심화 변형 문제 풀이
  👉 외솔 클래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