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 스마트폰 붙잡고 있던 그 순간에도 시험 범위는 점점 가까워지고 있어요.
특히 이 단원, 만화라고 우습게 봤다간 중간고사에서 점수 훅 빠질 수도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지구 #소통』 단원은 시험에 매년 출제되는 💥 킬러 포인트로, 단순히 만화 감상이 아니라 매체 비교, 특징 분석, 실전 문제 풀이까지 철저히 대비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시험에 나오는 내용만 콕콕 집어 알려드릴게요.
📚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 목차
1. 얄 행성 외계인의 불편한 소통 방식
얄 행성 외계인들은 순간이동 능력이 있어요. 단, 직접 만나야만 대화가 가능하다는 치명적인 한계가 있었죠.
삐뽀가 띵동이네 집에 가다가 다른 외계인을 놀라게 하는 상황! 어색하고 불편한 소통 방식 때문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해요.
"우리에게는 새로운 소통 방식이 필요할 것 같다!" – 띠용 왕
이 장면은 단순한 재미 요소가 아니라, ‘매체가 왜 필요한가?’라는 본질적 질문을 던지는 장치입니다.
그래서 얄 행성에서 세 연구원이 지구로 파견되죠. 바로 뜌, 듀, 두!
2. 뜌, 듀, 두가 만난 시대별 매체 비교
1) 뜌 – 방송 매체 시대
뜌는 편지와 전화를 사용하던 시대를 경험합니다.
- 편지: 일방향 소통, 시공간 제약, 전달 시간 지연
- 전화: 실시간 양방향 소통 가능, 음성 기반, 공간 제약 있음
2) 듀 – 양방향 매체 시대
듀는 핸드폰과 컴퓨터 시대를 만납니다. 인터넷 등장으로 소통이 혁신적으로 바뀌죠.
- 이메일: 즉시 전송, 확인 가능, 첨부 파일 O
- 실시간 채팅: 입력 중 확인, 빠른 반응
- 검색 가능: 원하는 정보 즉시 탐색
- 언어 변화: 신조어 등장 (“짱이죠?”)
3) 두 – 누리 소통 매체 시대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로 모든 게 가능! 두는 SNS 기반의 완전히 새로운 매체 환경을 경험합니다.
- 전 세계와 연결 (친구 10만 명! 🌍)
- 누구나 콘텐츠 생산자 (유튜브, 틱톡)
- 복합양식 사용 (영상, 문자, 이모티콘)
- 비표준 언어 사용 (“저메추”, 반말, 초성어)
3. 올드 미디어 vs 뉴 미디어의 차이점
올드 미디어의 3가지 종류
- 문자 매체: 손으로 직접 쓴 편지, 문서. 일방향 소통, 전달 지연
- 인쇄 매체: 금속 활자 이후 책과 신문 등장, 대량 생산 가능
- 방송 매체: 라디오, TV, 전화. 동시 전달 가능하지만 수용자는 수동적
뉴 미디어의 2가지 흐름
- 양방향 매체: 인터넷 기반. 이메일, 채팅 가능, 실시간 소통, 정보 검색 자유
- 누리 소통 매체: SNS, 스마트폰 기반. 시공간 제약 없음, 누구나 콘텐츠 생산자
⚠️ 주의: “올드 미디어는 사라진다”는 X!
실제로는 기존 매체와 뉴 미디어가 공존합니다.
4. 오늘날 매체 언어의 특징 정리
누리 소통 매체 시대의 언어는 전통 언어와 완전히 달라요.
시험에 자주 나오는 이 4가지 특징을 꼭 암기하세요!
✅ 1. 비표준어 사용 – 신조어, 초성어, 축약어가 일상화 (예: 저메추, ㅇㄱㄹㅇ)
✅ 2. 혼합된 문체 – 높임말과 반말이 뒤섞여 사용
✅ 3. 복합양식 – 문자+그림+영상+이모티콘 동시에 사용
✅ 4. 공사 영역 혼재 – 사적인 언어가 공적인 장소에도 사용됨
💎 핵심 포인트:
이 네 가지 특징은 단순 암기가 아니라 문제 출제의 단골 소재입니다.
5. 누리 소통 매체의 순기능과 역기능
순기능 ✅
- 정보 전달 속도 ↑: 전 세계 소식을 실시간으로 공유 가능
- 소통 범위 확장: 언제 어디서든 누구와도 연결 가능
- 콘텐츠 생산 기회: 유튜브, 블로그 등을 통한 영향력 행사
역기능 ⚠️
- 가짜뉴스 확산: 진위 확인 없이 빠르게 전파
- 명예훼손 위험: 악성 댓글, 루머로 피해 유발
- 무책임한 익명성: 사이버 불링, 무분별한 언행 증가
⚠️ 실제 사례: 두의 ‘뒷광고 논란’ 장면에서 가짜뉴스로 고통받는 모습 기억하죠?
이 장면은 누리 소통 매체의 역기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6. 시험에 꼭 나오는 실전 대비 포인트
💡 TIP: 아래 실전 대비 포인트는 서술형, 객관식 모두 출제 가능성이 높은 핵심 내용입니다.
- 얄 행성 vs 지구의 소통 방식 비교
얄 행성은 직접 대면, 지구는 매체를 통한 간접 소통!
소통 방식의 차이를 구조적으로 정리하세요. - 드라마 ‘네가 빠진 세계’와의 비교
악성 댓글 → 유제비의 진실 고백 → 응원 댓글 변화!
언어의 책임성과 사회적 영향력이 핵심입니다.
Q1. 편지와 이메일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공통점은 둘 다 문자 기반 매체이며, 상대에게 내용을 전달하는 기능이 있어요.
차이점은 이메일은 실시간 전달 가능하고, 읽음 확인, 첨부 기능까지 있다는 점입니다. 시험에 자주 출제돼요!
Q2. 누리 소통 매체 언어의 특징 중 ‘복합양식’이란 무엇인가요?
문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모티콘, 영상,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식이 함께 사용되는 것이에요.
예: 채팅창에서 글과 영상, 이모지 동시에 보내는 모습!
'고1 국어 학습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기로운 엠비티아이(MBTI) 사용법: 매체 비평적 읽기로 내신 완벽 대비! (0) | 2025.09.17 |
---|---|
『노찬성과 에반』 김애란 작품으로 내신 만점 받는 법 (0) | 2025.09.17 |
백석의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 조위한·현진건과 함께 풀어보는 내신 핵심 정리 (0) | 2025.09.16 |
조위한의 『최척전』 완벽 해설 + 박완서 『엄마의 말뚝 2』 비교 정리 🔥 내신대비 끝판왕! (0) | 2025.09.16 |
『제망매가』와 시조 두 수 완벽 비교|1-1단원 내신대비 필독 정리 (0) | 2025.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