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1 국어 학습일지

‘청산별곡’, ‘십 년을 경영하여’ 완전정복|동짓달, 논밭 갈아까지 중간고사 핵심 총정리

by oesolstudy 2025. 8. 31.
[외솔클래스룸] ‘청산별곡’, ‘십 년을 경영하여’ (+동짓달, 논밭 갈아)_비상(강호영) 공통국어2_2-1단원.pdf
3.7 MB

고전시가, 그냥 옛날 노래 같고 낯설기만 하다구요? 😵
하지만 여러분, 이번 시험에서 청산별곡, 십 년을 경영하여, 동짓달 기나긴 밤, 논밭 갈아 김 매고
단순히 외우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자연 인식의 변화, 형식적 특징, 시어 해석, 표현 기법까지
꼼꼼히 비교하며 분석해야 킬러문제 제대로 대비할 수 있어요!

✨지금 이 글 하나로 비상 강호영 2-1단원 완벽 정리합니다!
✨내신 국어 한 방에 끝낼 전략, 시작해 볼까요?

👉 국어 내신 1등급 전략 지금 확인하기 👈 👉 기출 패턴 완벽 분석! 비상(강호영) 중간고사 대비 👈

청산별곡: 청산은 도피처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애 살어리랏다.”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현실 도피의 처절한 절규예요.

청산은 그냥 예쁜 산이 아니에요. 지긋지긋한 현실, 속세를 피해 간절히 도망치고 싶은 곳이죠.

이 작품에서 자연은 결코 힐링의 공간이 아닙니다.
현실의 절망이 자연을 이상향으로 만들었을 뿐!

체크포인트: '우러라 우러라 새여'는 감정 이입의 대상
혼동 주의: '가던 새'는 '갈던 밭'으로 해석 가능! 미련을 상징함

💡 TIP: ‘청산’과 ‘바다’ 둘 다 현실 도피처입니다. 둘 다 쓴 이유는? 청산도 만족 못 했기 때문!


십 년을 경영하여: 자연과 친구가 된 삶

여기서 자연은요,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함께 사는 친구이자 인생의 동반자예요.

초장에서는 ‘십 년 동안 초가집 세 칸을 지은 만족’을 표현하며 안빈낙도의 미학을 보여주고, 중장에서는 달, 바람과 함께 방 나눠 쓰는 의인법으로 자연과 교감하죠.

“나 한 칸, 달 한 칸, 청풍 한 칸” → 자연이 룸메이트라니! 이거야말로 물아일체지!

체크포인트: 강산은 들이지 못하니 집 주위에 병풍처럼 두겠다? 자연을 감상의 대상으로 의인화한 표현
형식 특징: 전형적인 평시조 형식. 고상한 사대부 시인의 작품!

💎 핵심 포인트:
‘청산별곡’의 자연 = 도피처 / ‘십 년을 경영하여’의 자연 = 동반자
이 대비가 시험에 그대로 나옵니다!

동짓달 기나긴 밤: 추상의 구체화

황진이의 시조, 들어만 봐도 감성 충만한 느낌이죠?
여기서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바로 ‘시간’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구체화했다는 점이에요.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어”
→ 시간이 '허리'가 있어 자를 수 있다니, 상상력 폭발!

표현 기법: 추상적 대상의 구체화
음성 상징어: 서리서리, 구뷔구뷔 → 소리로도 ‘그리움’을 표현!

💡 TIP: 밤의 길이는 곧 그리움의 길이! 사랑하는 사람과 떨어진 화자의 간절함이 시의 핵심입니다.


논밭 갈아 김 매고: 사설시조의 진면목

이 작품은 사설시조입니다. 중장이 엄청 길죠? 왜 그럴까요?
바로 농민의 삶을 생생하게 담아내기 위해서입니다.

낮에 밭을 갈고, 점심을 먹고, 담배도 피고, 석양엔 콧노래까지~
일상인데 왜 이렇게 시적이고 아름다울까요?

형식적 특징: 중장이 유독 긴 서사적 전개
작가층: 서민 또는 평민,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묘사가 특징!

💎 핵심 포인트:
‘논밭 갈아 김 매고’는 단순한 노동의 노래가 아니라
삶을 사랑하는 자세, 여유, 풍류가 담긴 시조입니다.

자연 인식 변화 비교 총정리

작품명 자연의 의미 핵심 키워드
청산별곡 현실로부터 도망치고픈 도피처 절망, 도피, 체념
십 년을 경영하여 자연과 함께하는 삶, 친구 같은 존재 물아일체, 의인화, 안빈낙도
동짓달 기나긴 밤 그리움이 투영된 시간의 배경 추상 구체화, 음성상징어
논밭 갈아 김 매고 리얼한 현실 속 자연, 일상의 배경 서사, 풍류, 농민의 삶

이처럼 고전시가에 나타난 자연의 의미는 제각각입니다.
시험에서 ‘자연’이 등장하면 꼭 도피 / 동반 / 배경 / 현실 중 어떤 의미인지 구별하세요.


실전 팁 및 출제 포인트 정리

시험장에선 시간이 금! 하지만 이 4문장만 기억하면 다 풀립니다.

청산은 도피처, 강산은 친구, 밤은 그리움, 농촌은 진짜 삶이다.

출제율 높은 포인트도 꼭 체크하세요 👇

청산별곡: 화자의 체념, 현실 도피 의지 / 후렴구 반복 구조
십 년을 경영하여: 의인법, 자연과 동화, 물아일체
동짓달: 추상의 구체화, 그리움, 시간의 형상화
논밭 갈아: 사설시조의 중장 길이, 서민의 삶 묘사

⚠️ 주의: 자연은 항상 긍정적이라는 생각은 위험합니다!
작품마다 자연 인식은 다르다는 점, 반드시 기억하세요!

Q1. ‘청산별곡’에서 자연은 항상 긍정적인 의미인가요?

아닙니다. ‘청산별곡’에서의 자연은 현실의 괴로움을 피하기 위한 도피처로서의 의미가 강합니다.
자연=힐링이라는 단순 공식은 버리고, 작품 맥락에 따라 자연의 역할을 이해해야 합니다.

Q2. 시험에 ‘자연’을 묻는 문제가 나오면 어떻게 접근하나요?

먼저 해당 자연이 현실 도피처인지, 친구인지, 배경인지, 현실 공간인지 파악하세요.
그리고 그에 따른 화자의 태도(체념, 여유, 그리움 등)를 연결하면 보기 2~3개는 바로 제거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