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독서 해설 - (가) 순자의 사상
[노베이스는 괴롭다] 😵
안녕하세요, 국어 노베이스 초보 언니입니다.
이 글을 읽고 있다면 여러분도 저처럼
"순자? 성악설?" 하면서 머리가 복잡해졌을 겁니다.
처음에는 너무 철학적이고 어려운 용어들이 많아서
하나도 이해가 안 되더라고요.
‘성(性)이 뭐고, 심(心)이 뭐고, 위(僞)는 또 뭐야?’ 😨
라는 생각이 머릿속을 꽉 채웠습니다.
이게 윤리 글인지 국어인지.. 참..
윤리 싫어서 저는 이과 선택했는데..
이렇게 국어 시간에 괴로움을 줄 줄 몰랐네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저도 처음엔 완전 노베이스였지만,
하나하나 차근차근 분석하다 보니 결국 이해할 수 있었어요.
오늘은 순자의 사상을 쉽게 풀어볼 테니, 끝까지 따라와 주세요! 💪
[목차]
🔹 1. [이 정도는 알아야 해!] - 전국시대와 인간 본성의 관점 비교
🔹 2.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수능국어] - 지문 분석 및 해설
🔹 3. [핵심 요약/정리] - 시험에 나올 핵심 정리
🔹 4. [노베탈출이 보인다!] - 어려운 개념 극복법
[이 정도는 알아야 해!]
🏛 1. 중국 전국시대 전후의 흐름
- 🏹 전국시대(기원전 475~221년)는 중국이 여러 개의 국가로 나뉘어 치열하게 경쟁하던 시기였습니다.
- 📚 춘추전국시대를 거치며 제자백가(諸子百家)라 불리는 다양한 사상들이 등장했어요. 대표적으로 유가(공자, 맹자), 도가(노자, 장자), 법가(한비자), 그리고 순자의 사상이 있습니다.
- 🏆 결국, 전국시대 말기에 진(秦)나라가 다른 국가들을 통합하며 중국 최초의 통일 제국을 세우게 됩니다.
🤔 2. 인간의 본성에 대한 세 가지 관점 비교
🧠 사상가 | 🔍 본성에 대한 관점 | 🔑 해결 방법 |
🏅 맹자(성선설) |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선한 본성을 지님. 하지만 환경이 중요함. | 📖 올바른 교육과 환경 조성으로 선한 본성을 유지해야 함. |
🏅 순자(성악설) |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욕심이 많고 악한 성향을 가짐. | ⚖️ 예(禮)와 같은 규범을 통해 본성을 교화해야 함. |
🏅 고자(성무선악설) | 인간의 본성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음. 환경에 따라 달라짐. | 🔄 개인의 선택과 환경이 인간의 성품을 결정함. |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수능국어]
❗ 1.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보았어요. 왜냐하면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욕심이 많고, 자기 이익만 챙기려 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면, 🍔 맛있는 음식을 보면 남들보다는 내가 더 많이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것처럼요.
🔄 2. 하지만 인간은 바뀔 수 있다!
하지만 인간은 단순히 욕심쟁이가 아니에요. 왜냐하면 우리는 ‘심(心)’을 가지고 있어서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죠. 📖 공부도 안 하다가 갑자기 마음을 다잡고 열심히 하는 경우처럼요.
📜 3. 예(禮)의 중요성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사회가 혼란에 빠지지 않을까요? 순자는 ‘예(禮)’라는 규범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했어요. 예를 들면, 🏫 학교에서 교복을 입거나 선배에게 인사하는 것처럼 사회에는 각자의 역할과 규칙이 필요하다는 거죠.
👑 4. 군주의 역할
순자는 군주가 사회를 다스리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봤어요. 군주는 백성들에게 예를 가르치고, 사회를 질서 있게 운영해야 해요. 📚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공부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핵심 요약/정리]
✅ 순자의 기본 사상
- 🔥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욕심이 많다 → 성(性)이 악하다
- 💡 하지만 인간은 ‘심(心)’을 통해 배울 수 있다 → 후천적 노력이 중요하다
- ⚖️ 예(禮)를 통해 사회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
- 👑 군주는 예를 정하고 백성을 가르치는 역할을 한다
✅ 시험 포인트
1️⃣ 성(性) vs. 심(心) 개념 차이
2️⃣ 위(僞)와 예(禮)의 역할
3️⃣ 군주의 중요성
[노베탈출이 보인다!]
🤯 1. 순자의 개념이 헷갈린다면?
💡 성(性)은 욕심, 심(心)은 판단! 이렇게 단순하게 기억하세요.
🎯 2. 예(禮)의 역할이 어렵다면?
💡 학교 규칙을 떠올려 보세요. 만약 규칙이 없다면? 지각하는 학생이 많아지고, 급식 줄도 엉망이 되겠죠? 이처럼 사회도 규칙이 필요해요.
🏛 3. 군주가 왜 중요할까?
💡 선생님이 없으면 수업이 엉망이 되듯이, 군주가 없으면 사회 질서도 무너질 거예요.
📌 추가 학습 자료
📺 유튜브 강의 시청하기
👉 외솔교육 유튜브
📂 기출문제 다운로드
👉 외솔교육 홈페이지
📱 심화 변형 문제 풀이
👉 외솔 클래스룸
'고1 국어 학습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화의 여백' 기출 해설 2010년 3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국어 독서(예술) (0) | 2025.02.06 |
---|---|
'(나)홉스의 사회 계약론' 기출 해설 2024년 3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국어 독서(인문) (0) | 2025.02.05 |
'노직과 롤스의 정의' 기출 해설 2013년 11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국어 독서(인문) (0) | 2025.02.05 |
'추상표현주의' 기출 해설 2013년 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국어 독서(예술) (0) | 2025.02.05 |
'한비자의 법치 사상' 기출 해설 2013년 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국어 독서(인문)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