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1 국어 학습일지

📚 '가시리' 시험 직전까지 봐야 할 필수 개념 총정리! |김종철 천재 공통국어2 단원 분석

by oesolstudy 2025. 7. 19.

[외솔클래스룸] 가시리_천재(김종철) 공통국어2_1-1-1단원.pdf
11.5 MB

"아... 이건 진짜 외워야 한다."
내신 시험 전날 밤, 이 말 한마디가 떠오르는 작품이 있지. 바로 고려 속요 '가시리'야. 단순히 고어 해석만 잘하면 될 것 같지만, 절대 그렇지 않아! 형식, 후렴구의 의미 변화, 정서의 흐름까지 제대로 짚어야 실전에서 무조건 맞출 수 있어.

오늘은 천재교육 김종철 공통국어2 1-1-1단원에 나오는 '가시리'를 통해 반드시 시험에 나오는 포인트를 쏙쏙 짚어주는 정리를 할게.

👉 성적을 뒤집는 비밀노트 지금 확인하기 👈

👉 내신 끝판왕, '가시리' 마스터하러 가기 👈

작품 개요와 핵심 정리

고려 시대에 유행한 속요 '가시리'는 이별의 정서를 애절하게 표현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민요와 궁중 음악의 이중적 해석이 가능한 문학이다.

📌 핵심 키워드
- 갈래: 고려 속요
- 성격: 서정적, 민요적, 애상적
- 주제: 임과의 이별에 대한 슬픔과 기다림
- 표현: 반복법, 후렴구 사용, 3음보 율격
- 형식: 분연체, 후렴구 '위 증즐가 대평성대'

“화자의 겉과 속이 다른 태도, 바로 그 부분에서 출제 포인트가 터져 나옵니다.”
시험은 감정과 표현의 미묘한 거리감을 물어옵니다.

연별 정서 흐름과 분석

1연: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는
➤ 임의 이별을 앞두고 화자는 붙잡으려는 간절한 애원의 정서를 드러냅니다.

2연: 날러는 엇디 살라 하고
➤ 화자의 슬픔이 고조되며 원망이 강해지고, 감정이 격화됩니다.

💎 핵심 포인트:
각 연은 단절된 정서가 아니라, 점층적으로 변화하는 감정 흐름이 있다는 점을 유의하세요. 1연 → 2연 → 3연 → 4연으로 갈수록 '애원 → 원망 → 체념 → 희망' 순으로 감정이 변화합니다.

화자의 태도와 의미 변화

3연: 잡사와 두어리마는 / 선하면 아니 올셰라
➤ 여기서부터 화자는 임을 붙잡고 싶은 마음을 애써 눌러 감정 절제의 태도를 보입니다.
➤ '선하면 아니 올셰라'에서 드러나듯, 임의 마음 상함을 염려하여 오히려 잡지 않고 보내는 이별의 체념이 돋보입니다.

이때의 화자는 단순히 이별을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재회'를 위한 전략적 선택을 합니다. 감정적으로 보면 희생적이며 이타적인 사랑의 모습까지 느껴지죠.

“붙잡지 못하는 것이 사랑의 방식일 수도 있다.”
현명한 체념은 '가시리'의 진짜 정서를 말해 줍니다.

고려 속요 형식 완전 정복

4연: 셜온 님 보내옵노니 나는 / 가시는 듯 도셔 오쇼셔 나는
➤ 여기에서 화자는 결국 임을 보내지만, 곧바로 돌아오기를 바라는 재회의 염원을 드러냅니다.

이 작품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형식적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분연체: 연마다 시적 정서가 다르게 흐르며 구성이 나뉨
  • 3음보 율격: 각 행이 3·3·2조 형태로 이루어짐
  • 후렴구 사용: ‘위 증즐가 대평성대’는 형식적으로 첨가된 여음으로, 원래 내용과 정서와 어울리지 않음
  • 민요에서 속악으로 변화: 궁중 음악으로 수용되면서 의미가 다층화됨

💡 TIP: ‘후렴구’는 감정과 맞지 않으니 왜 들어갔을까?
이는 민간의 노래 → 궁중 속악으로 바뀌며 기능이 달라졌기 때문이야! 시험에 자주 나오는 포인트니까 꼭 기억해!

빈출 포인트 & 기출 대비

이 작품은 고려 속요의 형식적 특성과 감정 변화를 함께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주요 기출 포인트는 다음과 같아요:

  1. 후렴구의 의미와 기능‘위 증즐가 대평성대’는 왜 반복되는가? 이게 감정과 어울리는가?를 묻는 문제는 거의 매년 등장합니다.
  2. 화자의 정서 흐름각 연마다 화자의 감정이 어떻게 바뀌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문제는 단골이에요.
  3. 화자의 태도 변화붙잡고 싶지만 보내는 화자의 태도를 두 가지 이상의 표현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해요.
  4. 속요의 형식3음보, 분연체, 여음, 후렴구 등 형식 요소가 전형적으로 드러나는 작품이라는 점!

시험 전에 꼭 복습할 내용

마지막으로 시험 직전 반드시 봐야 할 핵심 요약입니다. 이걸 머릿속에 넣고 들어가면 절대 틀릴 일 없어요!

정서 흐름: 애원 → 원망 → 체념 → 재회 소망
후렴구 의미: 민요 → 속악 변화로 인한 형식적 첨가
화자의 태도: 감정 절제, 수용적 태도와 동시에 재회에 대한 희망
형식 정리: 고려 속요의 전형적 형식 구조(3음보, 분연체, 후렴구)

여러분이 지금 외우는 이 정리가, 곧 내신 1등급으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진심으로 응원할게요!

Q1. '가시리'에서 후렴구가 감정과 어울리지 않는 이유는 뭔가요?

이 작품은 원래 민간의 노래였는데, 궁중 음악인 속악으로 편입되며 후렴구가 추가됐어요. '위 증즐가 대평성대'는 태평성대를 노래하는 내용이라, 이별의 슬픔과는 어울리지 않죠. 시험에서는 이러한 맥락을 형식과 의미의 불일치로 묻는 경우가 많습니다.

Q2. 각 연별 정서를 구체적으로 구분하면 어떻게 되나요?

1연: 애원 / 2연: 슬픔과 원망 / 3연: 체념과 염려 / 4연: 재회 소망. 점층적으로 변화하는 감정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시험에서는 ‘화자의 태도 변화’를 서술형으로 묻는 경우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