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완성 2026학년도 EBS

이정환 「비가」 완벽 해설, 2026학년도 EBS 수능완성 필독 시조작품

by oesolstudy 2025. 6. 17.

음... 시조가 어렵다고? 그런데도 수능과 내신에선 꼭 나온다고? 😩

그렇다면, 2026학년도 EBS 수능완성에 수록된 이정환의 「비가」는 절대 놓쳐선 안 되는 작품입니다. 병자호란의 치욕과 그 시대의 고통을 고스란히 담아낸 이 작품, 단순히 외워서는 절대 안 됩니다. 출제 의도를 간파하는 안목이 필요하죠.

👉 비가, 해설로 실력 급상승 👈

👉 이정환 시조, 변형문제까지 한 방에 👈

1. 「비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이정환

자, 먼저 이정환이라는 인물을 제대로 알아야 해. 병자호란을 겪은 시대의 인물로, 임금의 굴욕적인 항복과 왕자들의 포로 생활을 목격한 충신이었어. 그런 배경이 이 작품에 그대로 녹아 있지.

「비가」는 연시조 형식으로, 총 10수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각 수마다 왕자들에 대한 그리움, 무능한 조정에 대한 분노, 그리고 충신이 없는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이 절절하게 담겨 있어.

“소현세자와 봉림 대군이 청나라에 끌려간 상황, 그리고 무기력한 조정을 바라보며 이정환은 비통함을 감추지 못했다.”

2. 주요 시조 수 해설 (제1수~제10수)

작품을 보면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핵심 시조 4수를 뽑아봤어. 수능이나 내신에서 바로 지문으로 제시되는 빈도 높은 구간들이야.

  1. 제1수: 꿈속 만남꿈을 통해 왕자를 만나는 환상적 장면으로 시작해. 이때의 정서는 그리움과 기쁨이야.
  2. 제2수: 사신에게 묻다청나라로 간 사신에게 왕자의 안부를 묻는 화자의 간절함과 눈물겨움이 나타나.
  3. 제4수: 충신의 부재박제상 같은 충신이 없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볼모로 잡힌 왕자를 구할 자가 없음을 탄식해.
  4. 제6수: 무능한 조정에 대한 분노무신은 많은데 쓸모는 없고, 조구리 같은 충신은 이미 죽었다고 한탄하는 강한 비판적 정서가 핵심이야.

💎 핵심 포인트:
시조 하나하나가 병자호란 당시의 국난을 보여주는 거울이야. 이정환은 단지 왕자들에 대한 애틋한 감정만 말하는 게 아니야. 조정의 무책임, 백성의 고통, 충신의 부재를 조목조목 지적하고 있어!

3. 주제와 정서의 흐름 분석

이 작품의 주된 정서는 비통함과 그리움이야.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지. 단순한 애상에 그치지 않고, 분노와 비판, 그리고 충절에 대한 갈망까지 겹겹이 녹아 있어.

제1수에서 왕자를 꿈속에서 만난 장면은 따뜻하지만, 제2수부터는 점점 정서가 암울하고 분노에 찬 방향으로 변화해. 그리고 마지막 제10수에선 결국 탁주라도 마시며 시름을 잊겠다는 자조 섞인 말로 마무리되지.

  1. 초반부소현세자와 봉림 대군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2. 중반부조정을 향한 분노와 비판
  3. 후반부현실을 바꿀 수 없다는 자포자기적 체념

4. 핵심 인물과 비유적 표현 분석

이 시조에서 직접 인물로 등장하는 사람은 거의 없어. 대신 비유와 상징을 통해 화자의 마음과 당시 상황을 보여주고 있어.

    • 박제상

→ 고대 충신의 상징. 현재의 조정엔 박제상 같은 인물이 없다는 한탄.

    • 조구리

→ 죽은 마부, 곧 충신의 죽음을 의미. 나라를 구할 사람이 없음.

    • 구렁의 풀

→ 나라의 치욕을 알지 못하고 태평하게 자라는 백성을 상징.

    • 탁주

→ 화자의 고통과 울분을 달래는 수단.

“이 작품은 직접적인 현실 비판과 간접적인 자연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 깊은 감정의 파동을 만들어내고 있어.”

❓ 자주 묻는 질문

Q1. '비가'에서 가장 헷갈리는 표현은 무엇인가요?

학생들이 자주 헷갈리는 건 ‘조구리’입니다. 단순한 마부가 아니라 충신의 상징으로 쓰였기 때문에, 인물과 상징의 의미를 연결해 이해하는 게 중요합니다.

Q2. '비가'는 어떤 방식으로 시험에 출제되나요?

정서 흐름 파악, 객관적 상관물(예: 풍설), 고전 인용(박제상) 관련 보기 문항 구성으로 자주 출제됩니다. 간접적 비판과 감정 이입을 묻는 문제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