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국어 1등급 공부법 모음

고3 기말고사 끝, 수능 국어에 바로 집중하자

by oesolstudy 2025. 7. 1.


1. 왜 지금부터인가? ― 7월~11월 4개월의 골든타임

  • 수능까지 약 140일 남았다.
  • 6월 모의평가로 올해 출제 경향이 이미 드러난 상태.
  • 내신이 끝난 지금이 기본기 완성 + 실전 적응을 병행할 마지막 기회다.

2. 2025학년도 수능 국어 구조 한눈에 보기

구분문항 수특징
공통과목
(독서·문학)
34문항 사고력·해석력 중심, 지문 길이 증가
선택과목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
11문항 두 과목 난이도 유사, 매체 파트는 문법 개념 필수
 

45문항·80분 구조를 반드시 체감 훈련하라.


3. 4개월 로드맵 (월별 핵심 미션)

기간목표핵심 활동
7월 개념·기본기 마스터 독서·문학 핵심 개념어 정리
선택 과목 결정 후 전범위 문법·표현 원리 복습
8월 기출 정밀 분석 최근 5개년 평가원·수능 지문 완전 해부
오답 원인별 태그(개념 미흡 / 추론 실수 / 시간 관리)
9월 실전 모의고사 적응 주 2회 80분 실전 → 해설 3배 시간 투자
9월 모평으로 약점 재진단
10월 취약 영역 보완·EBS 연계 EBS 수능완성·수능특강 50% 연계 포인트 집중
틀린 유형만 모은 맞춤 미니테스트
11월 파이널 스퍼트 하루 1회 파이널 모의 + 오답노트
시간 단축·멘탈 유지 루틴 확립
 

4. 영역별 공부 전략

4-1. 독서

  1. 배경지식 의존 최소화 ― 문단 구조·논리로 정답 결정
  2. 스캐닝 → 구조화(1분) → 읽기(6분) → 문제(3~4분) 시간 분배 고정
  3. 표지어·지시어 트래킹으로 논증 흐름 파악

4-2. 문학

  • 현대시·고전시가·고전소설·현대소설 로테이션
  • 작품 → 화자 → 정서·태도 → 표현 특징 → 주제 5단계 체크
  • EBS 연계 작품은 행간·주제 변형 유형 대비

4-3. 화법과 작문

  • 화법: 화자 목적·청자 반응 매칭 훈련
  • 작문: 개요-초고-퇴고 흐름 속 연결어·단위 출제 패턴 집중

4-4. 언어와 매체

  • 문법: 개념 암기는 8월 말까지 완료, 9월부터 적용 문제 중심
  • 매체: 그래프·도표·복합 양식별 정보 위치 파악 → 요지 요약 연습

5. 실전 모의고사 활용법

  1. 시뮬레이션 조건 : 80분, OMR, 아날로그 시계
  2. 체크리스트 : 시간 초과 지문 / 분석 실수 / 근거 불충분 항목 기록
  3. 6·9월 모평 분석으로 자기 패턴 파악 → 맞춤 타겟팅

6. 자료·교재 선택 가이드

  • EBS 수능특강·수능완성 : 50% 직·간접 연계 지문·문항 아이디어 파악용
  • 기출 변형 교재 : 평가원 어휘·논리 구조 유지 여부 확인 후 선택
  • 실전 모의 : 난이도 평가원 ± α, 해설에 근거 출처·오류 검증 표시된 교재

7. 오답 노트 = ‘사고 로그’

  • 선지 단위로 ‘왜 틀렸는지’ vs ‘왜 맞는지’ 논리 차트 작성
  • 3회 이상 반복 오류 유형은 주말 집중 교정

8. 메타인지 · 멘탈 관리

  • 주간 목표 득점(예: 공통 80점, 선택 22점) 설정
  • 모의 후 24시간 안에 자기 해설 발표 → 말로 설명하며 개념 확정
  • 수면·운동 루틴 고정 : 23시 취침, 6시 기상 패턴 유지

9. 마지막 한 달 파이널 전략

  1. 하루 한 세트 실전 모의 → 1.5시간 분석 → 30분 약점 미니테스트
  2. 선택 과목 전범위 회독으로 문법 공식 암기 점검
  3. 실수 방지 체크리스트를 시험장 책상 위 1장으로 압축

제발!

내신 종료 후 4개월은 개념 완성 → 기출 내재화 → 실전 적응의 압축 루트다.
수능 국어는 시간 관리논리 근거 싸움이다.
위 로드맵을 일정표에 그대로 이식해 매일 실행하라.